단백질은 근육, 혈액, 장기, 뼈, 피부, 머리카락, 손톱 등의 조직을 구성하고 재조직하는데 이용되고 호르몬, 항체, 그리고 효소를 구성합니다. 효소는 생리작용을 활성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모든 효소를 구성하는 단백질은 신체가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데 중요합니다. 단백질은 또한 체액균형 유지에 기여합니다. 단백질은 탄수화물이 부족할 경우 체내에서 에너지원으로 쓰이기도 하는데 1그램의 단백질은 4칼로리의 에너지를 공급합니다. 단백질이 분해될 때 단백질 분자의 질소부분이 남습니다. 이 때 신장은 과다한 질소를 여과하기 위해 무리를 하게 됩니다. 더욱이 신체가 에너지를 얻기 위해서 단백질에 많이 의존하게 되면 단백질은 더 이상 그것의 고유기능인 세포와 조직의 생성과 재구성에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됩니다. 과다하게 섭취된 단백질은 글루코스 또는 지방으로 전환되거나 소변을 통해 배설됩니다.
단백질의 주공급원으로 육류와 우유 및 유제품을 통한 동물성 단백질 섭취입니다. 곡물류 및 콩류 등을 통해 식물성 단백질 섭취가 가능합니다. 단백질은 2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며 아미노산은 탄소, 수소, 산소와 질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9개의 아미노산은 인체가 생성하지 못하므로 필수 아미노산이라 하는데 이는 음식물 섭취를 통해 제공되어야 합니다. 나머지 11개의 아미노산은 질소 공급만 원활하면 인체에서 생산될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신체기능을 위해서는 모든 아미노산이 신체에 존재하여야 합니다.
필수아미노산을 포함한 모든 단백질을 완전한 또는 고품질 단백질이라 하며 주로 동물성 단백질들입니다. 그러나 동물성 단백질은 종종 단백질과 함께 높은 지방 주로 포화지방 및 콜레스테롤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과다섭취는 심혈관계질환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식물성 단백질은 적당한 비율로 소비될 때 단백질의 좋은 공급원이 될 뿐만 아니라 콜레스테롤을 함유하지 않으면서 포화지방의 함량이 적어 섬유질, 비타민 그리고 미네랄의 좋은 공급원이 됩니다.
'일반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조조정 뜻은 무엇인가?. (0) | 2020.03.27 |
---|---|
골다공증 원인과 골다공증에 좋은 음식. (0) | 2020.03.26 |
고혈압이란? (0) | 2020.03.20 |
자원봉사 활동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아요. (0) | 2020.03.20 |
자신감 부족 원인과 극복하는 방법 (0) | 2020.03.17 |
댓글